본문 바로가기
제주도/여행

제주에서 제일 빨리 피는 2022 제주 벚꽃 개화 장소는 어디일까?

by 조끄띠 2022. 3. 28.
728x90
반응형
제주 벚꽃 실시간 : 제일 빨리 피는 2022 제주 벚꽃 개화 장소는?

벌써 봄이 오는 소리에 제주에는 벚꽃이 피어나기 시작했어요.

작년에는 3월 중순부터 말에 제주 벚꽃 개화가 시작했는데, 올해는 조금 더 늦은 감이 드네요.

제주에는 다양한 제주 벚꽃 명소들이 있지만, 가장 빨리 벚꽃이 피어나는 지역은 바로 서귀포라고 생각이 돼요.

 

 

특히 서귀포 효돈동은 제주도에서 가장 따뜻한 지역으로, 귤을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 가장 따뜻하기 때문에 이곳의 귤이 가장 맛있다고해요.

저도 지나가다가 발견한 곳이라서 생각보다 많이 개화한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어요.

 

 

조금만 늦어도 벚꽃은 모두 떨어지고 없어서 정말 제주 벚꽃 개화시기를 잘 맞춰서 구경을 와야해요.

지금 제주 시내 주변에는 꽃망울이 맺혀 있는 상태이고, 아주 조금씩 피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서귀포시 효돈동에 오시면 활짝 핀 벚꽃을 구경할 수 있답니다.

 

 

효돈초등학교, 효돈중학교 부터 쭉 마을길이 벚꽃으로 되어있는데, 굉장히 아름다고 정겨운 시골모습이 가득한 곳이에요.

 

 

제주 벚꽃 효돈동에는 80% 이상 개화가 된 상태이고, 이번주이면 만개할 예정입니다.

비나, 바람만 많이 불지 않는다면 예쁜 벚꽃길을 감상할 수 있을거에요.

 

 

벚꽃과 함께 찍은 예쁜 제주버스도 많이 다니구요.

도로이기 때문에 드라이브 삼아서 왔다가 갔다 하기도 좋은 곳이에요.

 

 

주변에는 편의점, 카페, 빵집 등등 작은 가게들이 많으니 벚꽃을 구경하러 와서 빵도 하나 사먹고, 커피도 한잔 사마시고 하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빌라와 하얗게 피어난 벚꽃 모습.

가장 따뜻한 동네 효돈동이라서 벚꽃이 정말 만개하듯 피어있어요.

부디 비가오지 않고 바람이 많이 불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신효동, 효돈동, 하효까지 이 주변이 가장 따뜻하기 때문에 벚꽃 구경하기가 딱이에요.

옛날 느낌의 이용원도 벚꽃나무와 감성적으로 너무 예쁜 사진이 찍혔어요.

조용한 시골이라, 오래된 간판들이 정말 멋있어요.

이용원 바로 옆은 효돈동에 있는 작은 카페 캐롤이에요.

항상 가보아야지 하면서 아직도 못가봤는데, 벚꽃시즌에는 더욱 인기가 좋은 카페랍니다.

서귀포 동부 신협과 벚꽃나무.

주변에는 우체국과 동사무도 있는데, 하나하나 간판을 다찍고 싶었는데, 시간이 촉박해서 다찍지 못해서 정말 아쉬워요.

특히 서귀포시 효돈동은 작은 시골마을이라, 곳곳에 정겨운 가게들이 많은데, 이렇게 벚꽃과 함께 사진을 찍으니 감성이 너무 좋더라구요.

 

 

효돈에 구하나구칠 이라는 개인 카페인데, 커피맛도 나쁘지 않고, 조용하고 저도 종종가는 카페에요.

벚꽃과 너무 예뻐서 한장 찍어보았어요.

효돈 초등학교 사이로 벚꽃이 정말 많이 피어났어요.

관광객들이 많이 오는 장소가 아니라서 사람이 많지않았어요.

하지만 2022년 가장 빨리 피어나는 벚꽃을 보러 오기 위해 많은 분들이 카메라를 가지고 사진을 찍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었어요.

 

 

바람이 불편 하나씩 벚꽃잎이 떨어지기 시작하는데 벚꽃과 시골길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요.

인도가 조금 좁은편이긴 하지만, 제주 벚꽃길을 걸으며 산책하기도 나쁘지 않았어요.

이 나무에 피어난 벚꽃은 완전 만개한 모습이에요.

팝콘같은 모양이 너무나 예쁘고 기분까지 좋아지는 하루입니다.

효돈동을 시작으로 위미, 중문 벚꽃이 피어날 예정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위미 벚꽃길도 다녀왔는데, 이곳만큼 꽃이 피어있질 않았어요.

예정보다 벚꽃이 늦게 피어나서 아쉬웠는데, 이렇게 일찍 볼 수 있는 동네가 있어서 참 좋아요.

마을 중간에는 큰 동백나무도 있어요. 아직까지 동백꽃이 피어있어서 날씨가 좋은날 하늘과 너무 예쁘게 찍혔네요.

2022년 제주 벚꽃을 빨리 보고 싶은 분들은 서귀포시 효돈동으로 오시면 예쁜 벚꽃 마을길을 구경할 수 있을거에요.

 

 

영상으로도 2022년 제주 벚꽃 개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728x90
반응형